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BQ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 연기, 정부 요청으로 또 미뤄져

by 퀄리티 인포 2024. 6. 1.

BBQ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 연기, 정부 요청으로 또 미뤄져
BBQ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 연기, 정부 요청으로 또 미뤄져

 

BBQ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격 인상 연기, 정부 요청으로 또 미뤄져

치킨 프랜차이즈 BBQ를 운영하는 제너시스BBQ그룹이 제품 가격 인상을 또다시 미뤘습니다.

‘물가 안정을 위해 인상을 늦춰줬으면 좋겠다’는 정부 요청에 가격 조정 시점을 보름 새 두 차례나 연기한 것입니다.

식품·외식업계에서는 민간기업의 제품 가격 결정에 정부가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격 인상 연기의 배경

BBQ는 31일 이날로 예정됐던 제품 가격 인상을 6월 4일로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애초 인상 시점을 지난 24일로 잡았다가 정부 요구로 8일 늦췄는데 이번에 또다시 나흘 연기한 것입니다.

외식업체가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가 시기를 두 차례 연기한 것은 이례적입니다.

BBQ는 가격 인상 시점을 다시 늦춘 이유에 대해 “인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물가를 잡겠다’는 정부 입김과 소비자단체 반발이 작용한 결과라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정부와 소비자단체의 입장

농림축산식품부도 이날 “소비자 입장을 생각해 가격 인상을 늦춰줬으면 좋겠다고 요청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주재료인 닭고기(육계) 시세가 하락하고 있는데 다른 원·부재료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는 것은 업체의 이익만 극대화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BBQ의 가격 인상 계획

BBQ는 22일 110개 전체 제품 중 23개의 소비자권장가격을 평균 6.3%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표 제품인 ‘황금올리브치킨’은 종전 2만원에서 2만3000원으로 15% 오르고 ‘자메이카 통다리구이’는 2만15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11.6% 인상됩니다.

BBQ의 가격 인상은 2022년 5월 이후 2년 만입니다.

 

BBQ는 인상안을 발표하며 “원·부재료 가격과 최저임금, 임차료, 가스비 등 유틸리티 비용 상승으로 가맹점들이 견디기 힘들 정도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밝혔습니다.

BBQ 자체 조사 결과 가맹점(매출 상위 40% 점포 기준)의 올해 4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가량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1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맹점주들의 반응과 업계의 시각

BBQ 가맹점주들은 가격 조정 시점이 계속 바뀌자 당혹해하는 분위기입니다.

한 가맹점주는 “10년 넘게 점포를 운영하면서 프랜차이즈 업체가 가격 인상을 두 번이나 연기하는 것은 처음 봤다”며 “가격을 놓고 오락가락하다 보니 인상이 과연 필요한지 의문을 표시하는 소비자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가격 인상을 나흘 더 늦춘다고 물가 안정에 보탬이 되겠느냐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다른 기업들의 사례

롯데웰푸드도 초콜릿 주원료인 코코아 가격이 급등하자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초콜릿 제품 17종 가격을 5월 1일부터 평균 12% 올리기로 했다가 정부 요청에 인상 시기를 6월 1일로 한 달 늦췄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견해

어윤종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가격 담합 같은 시장 교란 행위가 벌어지는 것도 아닌데 정부가 이런 식으로 개입하는 것은 자유시장경제 원칙에 어긋난다”며 “제때 가격을 못 올리면 나중에 한꺼번에 인상하게 돼 소비자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결론

이번 BBQ의 가격 인상 연기 사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소비자단체의 반발로 인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인상 문제가 아니라 기업과 정부, 소비자 간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사안임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사례는 계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자유시장경제의 원칙과 소비자 보호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논의가 될 것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서울 집값 반등과 양극화 심화: 용산과 구로의 극명한 대조

서울 집값 반등과 양극화 심화: 용산과 구로의 극명한 대조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올해 들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가격에 팔린 집은 용산구의 아파트로, 120

qualityin.tistory.com